아·태 국가도 속속 위드코로나…중국은 여전히 빗장
아·태 국가도 속속 위드코로나…중국은 여전히 빗장 한국 '단계적 일상회복' 시동…호주도 국경봉쇄 2년만에 해제 태국도 63개국 백신접종자에 무격리 입국…중국 '제로 코로나' 고수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 태국, 뉴질랜드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여러 곳이 1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의 공존, 이른바 '위드 코로나'를 시작했다. 코로나19로 빗장을 걸어 잠갔던 국경을 일부 개방하거나 사적모임과 영업제한 시간 등의 조치를 해제하는 등의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미 CNN 방송은 이날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코로나19와 공존을 시작했다고 보도하면서 중국은 대조적으로 더욱 고립돼가고 있다며 각국 방역 정책의 변화를 조명했다. 이들 국가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손해를 입었던 유럽, 북미와 달리 코로나19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거나 장기간 차단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올여름 델타 변이 확산으로 신규 감염자가 다시 늘자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하는 대신 백신 접종에 의지해 위드 코로나로 초점을 옮기기로 했다. 한국은 여전히 하루 1천∼2천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나오지만 다중 이용시설의 운영 제한을 대부분 없애고 10명(수도권)까지 사적 모임을 허용하는 등 바이러스와 공존을 시작했다고 CNN은 소개했다. 태국도 이날부터 한국, 미국, 영국 등 63개국에서 오는 관광객을 맞이한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태국 도착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된 방문객에 한해서다. 태국은 주 수입원인 관광업을 살리기 위해 재개방을 택했다. 관광업은 2019년 기준 태국 국내총생산(GDP)의 11%를 차지하지만, 코로나19로 고사 위기에 처했다.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는 지난달 12일 연설에서 "신속하면서도 신중하게 행동해야 한다"며 "연말연시 여행객을 잡을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팬데믹 후 국경을 철저하게 막았던 호주도 이날부터는 문을 열었다. 자국민에게조차 입국을 허용하지 않는 강력한 국경 제한 정책을 비로소 접기로 한 것이다. 호주 시민권자와 영주권자, 직계가족이 시드니 또는 멜버른으로 입국하는 경우 백신 접종 완료 후 7일 이상 지나고 항공기 탑승 전 PCR 음성 결과를 제출하면 귀국 뒤 격리 의무가 면제된다. 다만 외국인 입국 금지 조치는 계속된다. 20개월 만에 국경이 개방된 호주 공항 풍경은 많은 내외신의 주목을 받았다. 호주의 비공식 국가(國歌) 'I Still Call Australia'가 울려 퍼진 시드니 국제공항은 입국객과 이들을 마중 나온 가족으로 북적였고 곳곳에 눈물과 포옹, 웃음으로 가득 찼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뉴욕에서 왔다는 칼리 보이드씨는 AP통신에 "격리하지 않고 집으로 바로 갈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일"이라며 감격스러워했다. 호주 콴타스 항공의 고객 서비스 담당자인 폴 웨이슨도 "시드니 착륙은 승객과 승무원 모두에게 엄청난 날"이라고 말했다. 이웃 나라 뉴질랜드도 규제 완화에 동참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9일 자정부터 상점 영업과 공공시설 운영을 재개하고 실외 모임 제한 인원을 25명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다만 오클랜드 지역은 현재 코로나 경보 3단계를 그대로 유지한다. 뉴질랜드는 지난 8월 델타 변이 감염 사례가 발견되자 슈퍼마켓과 약국 등 필수 업종을 제외한 상점의 문을 닫았다. 아던 총리는 영업 제한 조치로 코로나19 감염을 막고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시간을 벌었지만 델타 변이를 영원히 막을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뉴질랜드의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62명으로, 이달 말 약 200명으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CNN은 "기존에 낮은 감염률과 바이러스 제거 전략을 우선시했던 국가가 안전하게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실험"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변화는 아시아태평양 전역의 높은 백신 접종률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일본, 호주 등은 출발은 늦었지만 이제는 세계에서 백신 접종률이 선두권이다. 옥스퍼드대의 정밍 첸 역학 교수는 "델타 변이는 거의 근절이 불가능하다"며 "호주, 뉴질랜드의 경험은 열심히 노력했으나 봉쇄를 계속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진단했다. 이어 "어느 시점에서는 재개방해야 한다"며 "바이러스는 계속해서 돌고 돌기 때문에 영원히 봉쇄할 수만은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중국만큼은 여전히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아직 외국인 유학생과 관광객의 입국은 금지되며 중국 시민권자와 일부 외국인 방문객은 입국이 가능하지만 2주 이상 격리 의무가 적용된다. 강력한 봉쇄를 고집하는 이유는 내년 2월 개막하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11월 예정된 중국 공산당 20차 당 대회다. 중국 정부가 2020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개최 여부를 두고 혼란을 겪었던 일본의 전철을 밟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CNN은 해석했다. 또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현 체제의 우월함을 보이려고 전염병을 통제 상태로 두고 싶어한다고 풀이했다. 중국 지도부 사이에서 중국산 백신 시노백에 대한 불신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시노백은 국제 실험에서 화이자, 모더나 등보다 훨씬 효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노년층을 대상으로는 임상실험이 이뤄지지 않아 코로나19 재유행 시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 외국인 교류가 활발했던 홍콩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SOAS) 중국 연구소 스티븐 창 교수는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 훨씬 이용자 친화적인 시스템을 갖춰야 하지만 시 주석의 시각에 홍콩은 '중국을 위한 글로벌 금융중심지'"라고 꼬집었다. 다만 중국 내에서도 일부 변화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는 하다. 중국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가오푸(高福)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주임은 지난달 "인구의 85%가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내년쯤 방역 규제를 완화하는 게 안전할 것"이라며 "코로나와 공존을 택한 아태 국가에서 대규모 발발 사례가 없다면 중국도 조기 개방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중국 위드코로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호주도 국경봉쇄 위드 코로나